안녕하세요. 소신있는 삶을 꿈꾸는 BL(Belief Life)입니다.
이번주 공부한 내용과 하면서 힘든점을 공유 하고자 포스팅 합니다.
교재의 1장은 "통계학의 이해"로써 정리할 내용이 없어 2장부터 정리합니다.
학습 범위
- 제2장 자료의 정리 및 요약 (R과 함께하는 통계학의 이해)
학습 내용
사용되는 R프로그램 함수
- table(x) # x의 도수분포표
- prop.table(table(x)) # table(x)의 상대도수
- cbind(table(x), prop.table(x)) # 도수와 상대도수 표 (열 기준으로)
( ▣ rbind()로하면 행 기준으로 표시된다.)
- barplot() # 막대그래프
- pie() # 원도표
- hist(data, breaks=x, probability=T) # y축이 상대도수인 히스토그램표
( ▣ probability=F라고 하면 y축은 도수 )
- mean () # 평균값
- var() # 분산값
- sd() # 표준편차 값
- boxplot(datam horizontal=T) # 상자그림
▣ 참고로 horizontal=T일 때
그리고 horizontal=F 일떄
이것으로 미루어 볼때, "horizontal=T" X축에 값이 있는 것이고, "horizontal=F"는 X축에 값이 없는 즉, Y축에 값이 존재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진다.
- quantile(data, type=2) # 분위수
▣ quantile(분위수)에는 9가지 type이 있는데 중위수를 구할수 있는 type은 type=2이다.
나머지 type은 다음을 참고바랍니다.
'[여러가지 시도] > ADsP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장 데이터 타입_R을 이용한 데이터 처리&분석 실무 (18.09.03~18,09,09) (0) | 2018.09.10 |
---|---|
ADsP 과목이 무엇이고 어떻게 공부할까? (0) | 2018.09.03 |